885. 봉합 수술 후 간호 질문
학생 :: 2006-08-27 16:19
안녕하세요.
이렇게 좋은 홈페이지를 찾게되어 정말 기쁩니다.

제 동생이 18살 인데요.
오토바이를 타고 가는데 앞차를 보지 못해 그대로
앞에 있는 승용차를 박았습니다.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라 얼굴에 유리가 박히고 크게 찢어졌습니다.
모발과 이마의 경계부분(이마 맨 위)부터 눈썹까지 세로로 찢어졌습니다. 약 7~8cm 정도 됩니다.
그리고 눈썹도 가로로 찢어졌습니다.

그래서 이마부터 눈썹까지 L자 모양으로 찢어져서
대학병원 응급실에 가서 꼬맸습니다.
토요일 저녁이었기 때문에 성형외과가 아닌 일반 이비인후과 선생님께서 꼬매셨습니다.(명찰에 이비인후과라고 써있더라구요)
그리고 턱 밑에도 3cm 정도 꼬맸구요.
인중 옆에도 1cm 정도 꼬맸구요.
팔에도 전박에 5cm 정도, 상박에도 6~7cm 정도 꼬맸습니다.
무릎에는 찰과상이 있구요.

이마가 가장 심한데 일자로 찢어진게 아니고 교통사고다보니 너덜너덜해진 상태였습니다.
이마 2cm 정도는 살이 완전 패인 상태였습니다.
유리파편을 빼내고 꼬맸구요.
사고난지 4시간 후 봉합수술을 시행했습니다.

대학병원 응급실에서는 봉합수술 부위 위에 테라마이신인가
노란색 연고를 발라주고, 그 위에 흰색 거즈만 붙여주었습니다.
그리고 일요일인 오늘 계속 그것만 붙이고 누워있었구요.

1. 이 거즈를 떼고 메디폼을 붙이는게 더 좋지 않을까요?

2. 일단 내일 병원 외래를 다녀올껀데요.
이비인후과에서 꼬매서 그런지 이비인후과 외래 예약을 하라고 하네요..
근데 성형외과로 가는게 좋지 않을까요?

3. 얼굴에 찰과상이 있는데요.
그냥 긁힌 그런 찰과상은 아니고, 아무래도 교통사고로 인한 찰과상이니
그 정도가 더 심하긴 한데요.
꼬맬 만큼은 아니라서 그런지 병원에서 그냥 후시딘 발라주라는데요
그냥 얼굴은 계속 후시딘만 바르면 될까요?
콘트락투벡스를 바르면 안되는지요? 아니면 다른 좋은 연고는 없나요? 그냥 후시딘만 발라도 충분한건지 궁금하구요..

4. 후에 봉합한 부위 상처가 아물때 되면 그때가터 콘트락투벡스를 바르는게 좋은건가요?
저는 지금부터 콘트락투벡스를 바르려고 했는데, 상처가 아문 후에 바르라고 나와있어서요..
켈로코트나 실겔 같은것도 지금 바를 필요가 없는건가요?

5. 저는 성형외과에서 꼬매지 않은것이 걱정이 되는데
실밥을 바로 푸르고 다시 성형외과가서 봉합수술을 한다고 해도
효과는 없는건가요?

6. 실밥을 푸를때까지 병원에 가서 매일 드레싱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그냥 메디폼만 붙이고 있어도 되는건지 궁금하구요.. 드레싱을 한다면 피부과로 가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성형외과로 가는게 좋을까요?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
근데 상처가 워낙 크다 보니 얼굴에 흉이 생길까 걱정이 많이 되서요...
게시판 글 다 읽어보고 자주하는 질문 글도 다 읽어봤는데 궁금증이 해결되지 않아 글을 남깁니다...
2006-08-27 23:42
안녕하세요! 1. 이 거즈를 떼고 메디폼을 붙이는게 더 좋지 않을까요? 상처에 따라 다르지만 상처가 감염의 징후가 없고 깨끗하다면 메디폼(2mm) 붙이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2. 일단 내일 병원 외래를 다녀올껀데요. 이비인후과에서 꼬매서 그런지 이비인후과 외래 예약을 하라고 하네요.. 근데 성형외과로 가는게 좋지 않을까요? 어느과를 보시는 것은 상관없으나 상처를 잘 보시는 분에게 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처는 기본적으로 대학병원에서는 성형외과에서 보지만 기초적인 것 때문에 성형외과 선생님도 잘 못보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3. 얼굴에 찰과상이 있는데요. 그냥 긁힌 그런 찰과상은 아니고, 아무래도 교통사고로 인한 찰과상이니 그 정도가 더 심하긴 한데요. 꼬맬 만큼은 아니라서 그런지 병원에서 그냥 후시딘 발라주라는데요 그냥 얼굴은 계속 후시딘만 바르면 될까요? 콘트락투벡스를 바르면 안되는지요? 아니면 다른 좋은 연고는 없나요? 그냥 후시딘만 발라도 충분한건지 궁금하구요.. 찰과상인 경우는 이물질제거가 제일 중요하고 그 다음에 습윤드레싱을 하는 것이 좋은데 부위에 따라 불가할 경우 연고류를 바르시는 것이 좋습니다. 연고는 항생제가 포함된 연고면 되는 데 상처를 보아가면 맞는 연고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후에 봉합한 부위 상처가 아물때 되면 그때가터 콘트락투벡스를 바르는게 좋은건가요? 저는 지금부터 콘트락투벡스를 바르려고 했는데, 상처가 아문 후에 바르라고 나와있어서요.. 켈로코트나 실겔 같은것도 지금 바를 필요가 없는건가요? 기본적으로 흉터연고는 상처치유가 끝난 이후에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5. 저는 성형외과에서 꼬매지 않은것이 걱정이 되는데 실밥을 바로 푸르고 다시 성형외과가서 봉합수술을 한다고 해도 효과는 없는건가요? 기본적으로 현재 상태에서 재손상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우선은 기다리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에 상처를 보면서 흉터의 교정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6. 실밥을 푸를때까지 병원에 가서 매일 드레싱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그냥 메디폼만 붙이고 있어도 되는건지 궁금하구요.. 드레싱을 한다면 피부과로 가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성형외과로 가는게 좋을까요 어느병원을 가든 상처를 잘 보아준다면 상관은 없으나 그런 병원을 찾는 다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드레싱은 사엋를 보면서 처음에는 매일 보다가 며칠 후 상처의 상태를 보아가면서 2-3일마다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