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7. 얼굴을 개에 물렸습니다
남편 :: 2006-10-16 00:37
내 처가 개에 얼굴이 여러 군데 물렸습니다. 성형외과에서 소독을 하고 봉합을 해서 며칠 있으면 실밥을 풉니다. 궁금한 점이 여러가지가 있어서 묻습니다.

1) 꼬맨 두 군데 상처에서 농은 나오지 않지만 아직 조금 아프다고 하는데 실밥을 푼 다음에 어떻게 처치하는지요? 메디폼을 붙일까요? 아님 후시딘 같은 것을 바르고 거기에 스테리 스트립을 붙일까요?
2) 코도 물려서 꼬맸는데 여기에는 테이핑 처리가 되지 않을 것 같은데 다른 처리를 어떻게 하는지요? 켈로코트 같은 것을 발라주면 될까요?
3) 켈로코트를 바르면 테이핑할 필요가 없습니까? 또는 켈로코트를 바르면 콘투라투벡스 같은 것을 바를 필요가 없습니까?
4)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자외선 차단크림을 발라야 한다고 하는데 크림을 바르고 테이핑을 하는 것이 가능한지요?
5) 테이핑으로 햇빛 차단이 되는 게 아닙니까?
6) 자외선차단크림과 콘투라투벡스, 테이핑을 동시에 할 수 있는지요? 그렇게 된다면 야외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까?
7) 일을 심하게 하면 흉터가 도질까요?
2006-10-16 18:48
안녕하세요! 개에 물린 상처는 일단은 많이 씻어내고 좀 기다리신 후에 봉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물론 상처가 깨끗하다면 봉합을 바로 하기도 하지요. 감염만 없다면 관리하는 것은 다른 상처와 같습니다. 테이핑할 수 있는 곳은 테이핑을 3개월 정도 하시고 연고는 테이핑이 어려운 곳에 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자외선 차단은 필수이므로 3-6개월동안은 꼭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하신 것에 대한 답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 꼬맨 두 군데 상처에서 농은 나오지 않지만 아직 조금 아프다고 하는데 실밥을 푼 다음에 어떻게 처치하는지요? 메디폼을 붙일까요? 아님 후시딘 같은 것을 바르고 거기에 스테리 스트립을 붙일까요? 봉합사를 제거한 후에는 스테리 스트립만 붙이시거나 그 위에 보습을 위한 연고를 살짝 바르시는 것도 상처치유에 도움이 됩니다. 2) 코도 물려서 꼬맸는데 여기에는 테이핑 처리가 되지 않을 것 같은데 다른 처리를 어떻게 하는지요? 켈로코트 같은 것을 발라주면 될까요? 코는 테이핑하시는 것이 어려우므로 켈로코트를 바르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켈로코트를 바르면 테이핑할 필요가 없습니까? 또는 켈로코트를 바르면 콘투라투벡스 같은 것을 바를 필요가 없습니까? 테이핑을 할 수 있으면 테이핑이 우선이고 그다음이 연고인데 켈로코트와 콘투락투벡스는 기전이 다른 종류의 흉터차단연고 이므로 둘중에 하나만 바르시는 것이 좋습니다. 4)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자외선 차단크림을 발라야 한다고 하는데 크림을 바르고 테이핑을 하는 것이 가능한지요? 테이핑을 하시고 상처위에만 살짝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바르시는 것이 좋고 가급적이면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낮에는 외출을 삼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5) 테이핑으로 햇빛 차단이 되는 게 아닙니까? 테이핑으로 어느 정도는 되지만 착색반흔을 방지할만큼 충분하지 않습니다. 6) 자외선차단크림과 콘투라투벡스, 테이핑을 동시에 할 수 있는지요? 그렇게 된다면 야외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까? 우선 콘투락투벡스를 먼저 상처에만 바르고 마사지 하신 후에 콘투락투벡스가 건조되면 테이핑을 하고 그위에 자외선차단제를 바르면 되지만 집에서 하시기에는 어려우므로 테이핑과 자외선차단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일 좋은 것은 낮에 외출을 하시지 않는 것이고 그 다음은 모자같은 것으로 얼굴을 가리는 것이 좋고 그 다음이 자외선 차단크림을 바르시는 것입니다. 당연히 야외활동은 제한하시는 것이 좋고 자유롭지 못합니다. 7) 일을 심하게 하면 흉터가 도질까요? 상처의 주변이 안정화되는 6개월에서 1년 동안은 가급적이면 상처주변을 많이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얼굴이나 몸톰보다는 팔다리의 흉터가 상대적으로 큰것은 움직임에 의한 장력의 증가로 면상반흔이나 비후성반흔이 생기기 쉽습니다. 무릎같은 관절부위에 상처는 다른 곳의 상처보다 흉을 많이 남기는 것은 이러한 원리입니다.



TOP